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9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2. 13:45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9

전자계산기 9장 1. 하나의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 - 인스트럭션 패치 - 인스트럭션 디코딩 - 오퍼랜드 패치 - 실행 - 인터럽트 조사 2. 메이저 스테이트 ( Major State ) 4가지 - 현재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 3. 인출 단계 ( Fetch Cycle ) -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셋(Set)시켜서 해독 -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기억장치에 접근 - 명령어 종류를 판별 - 명령어가 제어점을 제어 - 동작 순서 MAR ß PC MBR ß M[MAR] PC ß PC +1 IR ß MBR[OP] 4. 간접 단계 (Indirect Cycel) - 오퍼랜드의 주소를 읽어내는 단계 - 주소부가 간접 주소인 경우에만 수행 - 유효주소를 계산하기 위한 ..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8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2. 13:10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8

전자계산기 구조 8장 1. 주소 설계 시 고려 사항 - 주소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함 - 수행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주소 공간과 기억 공간을 독립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주소 지정 방식의 종류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Immediate Mode ) ㄱ. 오퍼랜드 부분에 실제 데이터를 기억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Direct Mode ) ㄱ. 사용할 자료의 번지를 표현 ㄴ. 명령어의 주소부를 유효주소로 이용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Indirect Mode) ㄱ. 명령의 길이가 짧고 제한되어 있어도 긴 주소 접근 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의 번지를 가진 기억장소의 번지를 표현 LDA 34였을 때 직접 주소 지정 방식 값과 간접 주소 지정 방식 값은 ?? 주소 내용 ..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7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2. 11:48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7

전자계산기 구조 7장 1. 명령어 구조 Operation Code (연산자) Mode Operand (자료부) 연관 단어들 단어(Word), 동작,연산자, MBR 주소,AD,PC,MAR,용량,메모리,기억장치 - 자료부의 길이가 n Bit라면 최대 2의 n승 개의 기억장소 - 명령어가 연산자(OP-code) 6비트, 주소 필드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는 최대 몇 가지 동작이 가능한가 ?? 답 : 2의 6승 = 64 - 명령어가 오퍼레이션 코드(OP-cpde) 6비트, 어드레스 필드 16비트로 되어 있다. 이 명령어를 쓰는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 용량은 답 : 2의 16승 = 65536 = (K는 1024이므로) 64K - 명령어의 길이가 16비트이고 연산코드가 5비트라면 이 명령에 의해 직접 주소지..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6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2. 11:13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6

전자계산기 구조 6장 1.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집합형태에 따른 분류 - CISC : 인텔 계열의 거의 모든 프로세서에서 사용 - RISC ㄱ. 거의 모든 명령어가 레지스터를 대상으로 하며 메모리의 접근을 최소로 함 ㄴ. 명령어의 수를 간단하게 줄여 수행 속도가 빠름 2.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 제어 장치 ㄱ. 명령을 수행시키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 ㄴ. 명령 레지스터의 명령어를 해독하여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보냄 ㄷ. 제어장치에 입력되는 항목 = 명령어 레지스터(IR), 플래그, 클록 ㄹ. 제어장치 구현 방식 2가지 하드웨어적 제어 방식 (하드와이어 제어 방식) 소프트웨어적 제어 방식 고정 배선 제어 방식 상태 플립플롭 제어 방식 등 회로 구성이 복잡 비쌈 , 고속 마이크로..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5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2. 10:03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5

전자계산기 구조 5장 1. 부동 소수점 ( Floating Point ) 방식 -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표시 : 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의 수행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 : M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은 백만 번 수행 = 메가플롭스 계산식 = 프로그램 내의 부동 소수점 연산 개수 / (수행 시간 X 10의 6승) 2. IEEE 754 표준에 따른 단정도(단일-정밀도) 부동 소수점 표현 - 지수 : 8비트 - 바이어스 : 127 - 가수 : 23비트 - 표현 영역 = 2의 -127승 ~ 2의 128승 3. 부동 소수점 연산 - 덧셈, 뺄셈 ㄱ. 0인지 여부를 조사, 지수의 비교 ㄴ. 가수의 위치 조정 (=가수의 정렬 = 지수 통일) ㄷ. 가수부 값끼리 더하거나 뺌 ㄹ. 정규화 (..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4
자격증/정보처리기사2019. 7. 21. 20:11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4

전자계산기 구조 4장 1. 덧셈 : 동일한 컴퓨터에서 처리할 경우 연산 속도가 가장 빠름 2. 보수 - 2의 보수는 1의 보수를 구한 후 (1을 0으로, 0을 1로 변환) 결과 값에 1을 더함 - Exam : (-17) +(-4) 를 2의 보수로 표현한다면 ? (8자리로 구성) = > (-17) +(-4) = -21 를 8진수로 변환한다 = > 21은 1 + 4 + 16 이므로 아래와 같이 만들수 있다 = > 0 0 0 1 0 1 0 1 = > 제일 왼쪽은 양수라면 0, 음수라면 1로 부호 비트를 채우고, 나머지는 1을 0으로, 0을 1로 변환해 1의 보수를 만든다. = > 1 1 1 0 1 0 1 0 = > 결과 값에 1을 더해 2의 보수를 만든다. = > 1 1 1 0 1 0 1 1 3. 2진 연산 ..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