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Overloading 이란 메서드의 동일한 이름이 있을 경우 자료형에 따라서 구별을 할 수 가 있다 . è 이것이 메소드오버로딩이다. 몇 개 들어올지 모를 때 어떻게 해야 하나 à 가변인자라고 한다. Ex ) public static int a1 (int num1…..) à 여기에 몇 개 들어올지 모를 때 해결방법 : ( int … numx ) à 내부적으로 배열로 처리 된다 . 가변인자의 위치는 마지막에만 가능하다 . Ex ) public static int a1 (char p , int num1…..) à 가능하다 . Ex ) public static int a1 (int num1, char p) à 불가능하다 . 배열인자와 가변인자는 같은 것이 아니다 . Int [] num Vs int..
char[] c =new char[size]; // size 만큼 char배열을 만든다 . String s = new String(c); // 만든 c배열을 String s변수에 저장시킨다. return s; // s를 반환 컴파일 할때는 return 되는 접근제한자 or 상위 접근제한자와 비교를 통해 false or true 비교한다 . String -- > str.toCharArray() : char배열로 만들수 있다.
package day06;public class Prob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6, num2 = 15;System.out.println("두 수의 차는 : " + Prob1.abs(num1, num2));}private static int abs(int num1, int num2) {int Sum = num1 - num2 ; // int 정수형 Sum 선언if(Sum
문제1. 두 개의 숫자를 매개 변수로 받아서 두 숫자 사이의 차를 구하되, 실행 결과가 음수일 경우 양의 정수로 변경하여 리턴하는 abs() 메서드를 구현하시오.(단, 주어진 메서드의 시그니쳐는 변경하지 않는다.)public class Prob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6, num2 = 15;System.out.println("두 수의 차는 : " + Prob1.abs(num1, num2));}private static int abs(int num1, int num2) {// 코드 작성}}
package day06;public class Prob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Prob2 p = new Prob2();System.out.println(p.leftPad("MDS", 6, '#'));System.out.println(p.leftPad("MDS", 5, '$'));System.out.println(p.leftPad("MDS", 2, '&'));}public String leftPad(String str, int size, char padChar) {String a = ""; // 임의의 String 변수 a int c = str.length(); // str의 길이를 정수형 c..
Prob2내에 leftPad 메소드를 작성하십시오. leftPad 메소드의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메소드 시그니처 : public String leftPad(String str, int size, char padChar)2.입력 문자열(str)의 길이가 입력받은 수(size)가 될 때까지 문자열의 좌측을 지정된 문자(padChar)로 채운 후 리턴한다.3.단, 입력 문자열(str)의 길이가 입력받은 수(size) 보다 큰 경우에는 원본 문자열(str)을 그대로 리턴한다. 실행 예) leftPad(“MDS”, 6, ‘#’) ###MDS leftPad(“MDS”, 5, ‘$’) $$MDSleftPad(“MDS”, 2, ‘&’) MDS 실행 결과 화면###MDS $$MDSMDS public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