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 상태( Dead lock ) 정의 : 1. 하나 or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발생될 수 없는 어떤 특정 사건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2. 특정 프로세스가 특정한 자원을 위하여 무한정 기다려도 해결할 수 없는 상태 3. 즉 , 일어나지 않을 상황에서 기다리고 있을 때 문제점 :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킴 Ex)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오고 있는 두 사람이 돌 다리를 건너면서 같은 돌을 디디려 할 때 발생하는 문제 è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강을 건너기 위해 무작정 기다리는 경우 è 이때를 기아상태(starvation) 이라고 함 정상적인 프로세스의 자원 이용 순서 1. 요청 (request) : 자원이 사용 줄일 때 , 요청한 자원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함 2. ..
UML 상태 다이어그램 정의 : 객체의 동작과 상태를 높고 낮은 2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중첩된 개념 슈퍼 상태 정의 : 1. 서브 상태를 포함하는 확장된 상태 2. 둥근 사각형의 상태 아이콘이 확장되어 슈퍼 상태 내에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 3. 복잡한 상황을 높은 관점에서 표현 서브 상태 정의 : 1. 자세한 정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상태 다이어그램 2. 상태 안에서 세부 항목을 낮은 관점으로 봄 *슈퍼 상태와 서브 상태 동시성 정의 : 1. 한 상태 내에서 여러 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허용하기 때문에 UML은 어떤 상태내에서 동시성(Concurrency) 지원 동시성의 모델링 표현법 : 1. 슈퍼 상태 내부를 필요한 만큼 나누고 2. 서브 상태 다이어그램을 그 분리된 영..
State_Diagram 기본 표기법 : 반응적인 성격을 가지는 객체의 행동을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 Ex) 세탁기 객체가 가질 수 있는 상태들 상태 1. 객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 2. 둥근 모서리를 가진 사각형으로 표시 3. 둥근 모서리를 가진 사각형의 안쪽 상단에 상태 이름 기술 상태에서 중요한 것 1. 객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경우가 상태로 파악되야 함 2. 객체는 파악된 상태들 이외의 상태를 가질 수 없다 3. 객체는 특정 순간에는 오직 한 상태로만 존재할 수 있음 Plus_Imformation 1. 시작과 종료 상태가 있다 2. 표기는 Activity_Diagram처럼 동일하게 사용한다. 이벤트와 전이 정의 : 이벤트에 의해 전이되는 두 상태를 표현 특징 1. 객체에..
디스크 스케줄링 1. 정의 : 현재의 헤드 위치에서 가장 적은 기계적 이동으로 이러한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대기 큐를 재배열하는 과정 2. 2가지 방법 ㄱ. 탐색 시간을 최적화하는 방법 ㄴ. 회전 지연 시간을 최적화하는 방법 3. 일반적으로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은 탐색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이용 이유 : ㄱ. 탐색 시간은 회전 지연 시간에 비하여 훨씬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 ㄴ. 실제 회전 지연 시간의 감소는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을 증진시키는데 영향 x 4. 종류 ㄱ. FCFS(First Come First Served)스케줄링 정의 : 1. 먼저 도착한 요청을 우선시 2. 공평성 보장 , 프로그래밍 쉬움 3.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요청이 도착해도 실행의 순서가 바뀌지 x 4. 대기 중인 요청..
디스크 스케줄링과 파일시스템 개요 1. 파일시스템 : 전체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의 한 부분 2. 현재의 컴퓨터와 시스템은 주로 디스크 시스템 중심의 처리 3.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운영체제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부분 4. 운영체제는 디스크 or CD-ROM 같은 기억용량이 큰 기억장치를 관리or운영 디스크 구조 1. 섹터 : 디스크 구조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나누어진 구역 , 보통 512Byte 2. 트랙 : 중심축에 대해 동심원으로 나누어진 것 3. 클러스터 : 보통 몇 개의 섹터를 모아서 , 입출력의 기본 단위 4. 실린더 : 동일한 인덱스 번호를 가진 트랙의 모임 5. 탐색시간(seek time) : 실제 원하는 실린더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 6. 회전지연시간(latency time) : 원판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만드는 단계1단계시스템 상황을 확인한다.2단계(액터 식별)행위자와 그들의 책임을 확인한다.3단계(유스케이스 식별)특정한 목적의 관점에서 볼 때 쓰임새와 시스템의 특성을 확인하다. 4단계(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작성 )1.행위자와 유스케이스 정제할 부분이 있는지평가.2.유스케이스에서 평가.3.유스케이스에서 평가.4.행위자와 유스케이스를 일반화 할수 있는지 평가.5단계(유스케이스 명세서 작성)1.유스케이스명 , 엑터명 및 개요를 기술한다,2.사전 및 사후 조건과 제약사항들을 식별한다.3.작업 흐름과 시나리오를 도출한다.4.유스케이스 흐름에서 포함이나 확장 유스케이스로 구조화 한다.6단계(유스케이스 실체화 구현 시스템의 논리적 구성 요소인 클래스를 식별하고 통신관계를 파악 각 단계별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