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auth_심화
학부공부/인터넷보안과응용2018. 9. 10. 20:27Oauth_심화

저번에 다뤘던 Oauth에 내용을 추가해 보겠다.Oauth 1. 하나의 로그인을 이용해 다수의 관련 없는 웹사이트들에 접근할 수 있음 à 접근한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è 크게 2가지 의미를 가진다. è 1.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해준다 è 2. 권한을 준다 ( = 인가 ) Ex : facebook을 통해서 다른 사이트에 연동을 한다 . è 인증 ( login ) 이 된것이고 , 권한을 주었다. Ex : 카카오톡에서 상태명에 노래가 있을 시 멜론으로 넘어감 , 카카오톡 인터페이스에서 멜론이 켜진다. 그렇지만 1분만 노래가 나온다 . 이 때 권한은 안준것이다. 2. 공통 프로토콜을 지닌다. 3. 상용화 된 것은 2017년부터 , google 과 twitter에서 적극 추친을 하고 지원하였기 때문에 처..

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2018. 9. 10. 20:10단말과 모뎀 사이

단말 à 모뎀 : 이때 디지털 신호로 가고 , 모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을 하고 다시 모뎀에서 단말로 갈 때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된다. 전송에 있어서 단말 à 모뎀 , 모뎀à 단말로 갈 때 신호가 변환이 된다는 것인데 이 때 모뎀은 몇 개가 필요할까…?? 결론은 1개 이다 . 만약 Timesink가 맞다면 겹치는 소리 없이 소리가 들릴 것이다. 순서대로( serial ) 에 맞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게 가능할까?? è 가능하다 모뎀에서 시간타임을 정해준다면 그렇지만 이렇게 처리안한다 . 왜냐하면 소리가 끊어져서 들리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Ex ) 여보세요 ~ 하울링 생길 때 , 통신 퀄리티가 안좋을 때 그렇게 발생한다. 통신하는 사람들이 셋팅을 해놓았다 ( 안끊기게 들릴정도로 )..

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2018. 9. 10. 20:04정보 전송의 기본 요소 ( 신호의 분석 )

정보 전송의 기본 요소 ( 신호의 분석 ) 1. 아날로그 신호 : 전압값이 여러 개 ,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 ㄱ. 주기 신호 : 정현파 Vs 비정현파 Sin Vs 계단파,직선파,삼각파, 클록 정보를 변환한 신호 ㄴ. 비주기 신호 : 잡음 ㄷ. 아날로그 신호 변조의 구성 요소 : A ( 진폭 ) , W ( 주파수 ) , Q ( 위상 ) ㄹ. 진폭 : 신호의 크기 or 세기 , 단위 V , Ex) 음성의 크기 ㅁ. 주파수 : 단위 시간당 사이클을 반복하는 횟수 , 단위는 Hz(헤르츠) ㅂ. 위상 : 임의의 시간에서 반송파 사이클의 상대적인 위치 ㅅ. X(t) = A * Sin * (wt +q) 2. 디지털 신호 ㄱ. 이산 신호 , 물리량 à 유한한 숫자로 표현하는 것 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려면 시..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9. 10. 08:23$ 연산자와 이름 활용

하다보니 , List와 행렬 ( 매트릭스 ) 의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List같은 경우에는 어떤 특정 위치의 이름명이 아니라 숫자형태를 띄고 ,행렬은 특정 행이나 열에 변수명이 먼저 오고 뒤로 값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List에서는 이 숫자대신에 변수명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val1 = c("1","2","3","4")val2 = c("김","인","우")Ex_List2 만약 이름이 없는 List같은 경우 Null 값을 반환한다.--> 왜냐하면 애초에 List같은 경우 name이 없기 때문이다. 행렬에서도 이름을 확인 할 수 있을까 ?? Rownames(행렬) : 행의 이름이 출력된다Colnames(행렬) : 열의 이름이 출력된다 행렬에서도 $를 사용해서 이름을 확인 할 수 있는가..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9. 10. 08:01List의 indexing

먼저 List 란 요소들을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List 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List ( 요소 , 요소 ) --> 이렇게 하게 되면 하나의 List로써 요소 + 요소 가 들어가져 있는 List가 만들어 진다. 만약 List에서 특정 위치의 요소를 보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 List는 전에 배웠던 , Vector 와 행렬과는 조금 다르다List는 이중 [[]] 의 형태를 갖는다.--> List [[특정 하위의 요소 위치 ]] [ 요소 위치 ] List 안에 요소자리에 List가 올 수 있다.이 때 만약 List안에 있는 List의 위치를 알고 싶다면[[[특정 하위 요소 위치 ]]] [ 요소 위치 ]] 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9. 10. 07:36Indexing

Indexing : 특정 위치를 알아 보는 것 요소들은 각각의 위치를 갖는다. 벡터[찾고자하는 요소의 위치] 행렬은 행의 위치와 열의 위치가 필요하다 행렬 [ 행의 위치 , 열의 위치 ] 특정 부분만 보고 싶을 경우 빈칸으로 냄겨준다. 행렬 [ , 열의 위치 ] 특정 열만 볼 수 있다. 행렬 [ 행의 위치 , ] 특정 행만 볼 수 있다. 특정한 위치에 있는 요소의 종류도 확인 할 수 있다. typeof(Vector[행의위치,열의위치]) 이러한 방법을 Indexing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