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9. 11. 23:49data_frame 과 class

data_frame은 문자 + 숫자 상관없이 묶어서 Frame 생성 Class : vector , matrix , list , factor , data_frame 클래스는 이렇게 존재한다 . è Vector은 나오지 않는다--> 이 의미는 Class로 Vector을 지정하게 되면 Vector라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 Vector의 하위요소인 Int,Lo,Ch,Double이 나오는 것이다.è 단 여기서 Vector의 하위로써 double 일 경우 numeric이 나온다.è 문자열로 되어 있는 것을 data_frame으로 될 때는 factor로 변환되어서 저장이 된다. 이때 dt를 데이타프레임이라고 가정을 해보자 그리고 vec_on에는 문자열이 저장되어 있는 factor이라고 가정을 해보자. Typeof(..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9. 11. 23:29Factor

Factor라는 것은 무엇이며 ,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우선 Factor은 객체의 성질을 지니며 , 회기 분석에 사용이 된다 범주형 변수로써 dummy (indicator) variable è R에서는 범주변수를 안만들어도 factor를 사용해서 쓸수 있다. 예를 들어 보자 vec_on 일종의 Vector이다. è As.Integer : 정수형으로 확인 할 때 --> 여기서 헷갈리는 점은 , as.Integer로써 factor의 값을 알고 싶다고 싶을 때 해보면 , --> factor하면서 솔팅되어진 값들의 원래 데이터가 있던 자리의 값들이 나오게 되는데 ,--> 이 의미는 Factor함으로써 솔팅된 값들이 나오게 되는것이다 . 물론 중복을 제외하고 이다. 각각의 값이 Integer로 저장이 되어 있을 ..

기본 확률 이론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11. 20:10기본 확률 이론

확률의 정의 1. 사건의 확률은 사건이 발생할 경우의 비율이며 , 확률을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인 측도로 정의 2. 수학적인 표현으로 1 ( 완전히 확실 ) , 0 ( 완전히 불가능 ) 3. 예를 들어서 성공과 실패를 확률로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è 성공 = 성공횟수 / 모든 경우의 수 è 실패 = 실패횟수 / 모든 경우의 수 è 성공 = 성공횟수 / 성공횟수 + 실패횟수 è 실패 = 실패횟수 / 성공횟수 + 실패횟수 è 성공 + 실패 = 1 독립 사건과 배타적 사건 1.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사건 2. 예를 들어서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1이랑 4랑 같이 나올 수 있는가 ?? 그럴 수 없다 3. 독립된 사건이 아니면 다른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è 주사위를 한 번 던지는데 ..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11. 19:01불확실성

불확실성 1. 전문가가 사용하는 정보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불완전성이다. 2. 정보라는 것은 불완전할 수 있고, 모순되기도 하고 불확실할 수도 있다. 3. 전문가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 올바른 판단과 결정을 내릴 수 있다. 4. 전문가 시스템도 불확실성을 잘 다루어서 타당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전문가 시스템에서 말하는 불확실성이란 무엇일까 1. 확실하고 믿을 만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정확한 ‘ 정보의 부족 ‘ 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우리가 사용하는 정보에는 종종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하기도 하며 , 측정할 수 없는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다. 왜 전문가 시스템에서 불확실성이 나타나고 , 지식이 불확실해지는 것일까?? 1. 상관관계가 취약한 함축 è 주제 전문가와 지식 공학자..

학부공부/인터넷보안과응용2018. 9. 11. 18:46Oauth-심화2

Ouath 단계 1. 첫 번째 웹사이트가 사용자를 대신해서 두 번째 웹사이트에 접속 è 이때 Oauth를 사용하고 , 사용자의 확인된 ID를 제공 2. 두 번째 사이트는 해당 트랜젝션 및 관여 당사자에 고유한 1회성 암호와 1회성 토큰을 생성 3. 첫 번째 사이트는 이 토큰과 암호를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제공 4.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요청 토큰과 암호를 인증공급업체에 제시 ( 여기서는 두번째 사이트 or 다른 사이트 or 서비스 ) 5. 인증 ( 인가 ) 공급업체에 인증이 되어 있지 않다면 , 클라이언트가 인증을 요청할 것이다. 인증 후에 , 클라이언트는 두 번째 웹사이트에 인증 트랜젝션 승인을 요청한다. 6. 사용자 or 소프트웨어는 첫 번째 웹사이트에서 트랜젝션을 승인 7. 그리고 사용..

패스워드 크랙으로 패스워드 취약성 알아보기
학부공부/인터넷보안과응용2018. 9. 11. 17:32패스워드 크랙으로 패스워드 취약성 알아보기

공부하다가 신기한게 생겨서 올려본다. 내가 쓰고 있는 password가 어느정도의 보안을 가지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것이다 . 다음 사이트를 들어가 보자. https://howsecureismypassword.net/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바로 뜰 것인데. ENTER PASSWORD 이곳에 내가 사용하고 있는 password를 입력하면 된다. 저 같은 경우에는 200년 걸린다고 한다...진짜일까 ..? 다른 것도 해보았다. 123456을 입력해 보았다. 입력하자 마자 INSTANTLY ( 즉시 ) 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게 보니까 , 패스워드 크랙이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 같았다. 패스워드 크랙이란 공격 대상이 이미 ID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해킹 기법이..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