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10. 12. 00:03LISP의 특성리스트(Property Lists)

특성리스트 (Property Lists) 특성리스트 함수들은 특성들을 원소에 할당 , Get , 대치 , 제거할 수 있다. 함수 putprop은 원소에 특성값을 할당한다. 이 함수는 세가지 인수들을 취하는데 , 차례대로 대상이름 ( 원소 ) , 특성 or 속성이름 , 특성 or 속성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에 대해 특성을 부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putprop ‘car ‘ford ‘make) à FORD (putprop ‘car 1988 ‘year) à 1988(putprop ‘car ‘red ‘color) à RED(putprop ‘car ‘four-door ‘style) à FOUR-DOOR (위에서 본 것처럼 일반형식은 다음과 같다 (putprop object value ..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10. 9. 17:20LISP의 반복과 순환 ( Iteration and Recursion )

반복과 순환 (Iteration and Recursion) 반복 구조(Iteration Constructs) # do 구조 형태 : (do ( ) ( ) … ( )()) Val1 는 모두 평가되고 , 차례로 그에 대응한 변수 var1에 할당되는 초기값들이다 . 뒤에 오는 각 문들은 선택적 update문들인데 , 매번 반복될 때마다 var1가 어떻게 갱신되는가를 정의한다 . 반복되는 동안 변수들이 갱신된 후에 가 평가되는데 , 만약 결과값이 non-nil 인 경우 return value가 평가되고 되돌려 진다 . 몸체를 형성하는 들은 선택적이다 . 만약 상징문들이 있으면 탈출조건을 만날 때까지 각 반복마다 그것들이 수행된다 . factorial예제를 통해서 이해해 보자 . (defun factorial(n..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10. 9. 03:18LISP 의 지역 변수 구조 ( Constructs for Local variables )

지역 변수 구조 ( Constructs for Local Variables ) setq로써 이루어지는 광역변수 ( global variable ) or 지역변수 형태로의 할당보다는 지역변수 (local variable)로 선언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 물론 함수 정의 내의 인수 매개변수들은 지역변수들이다 . 함수 내에서 그 변수들에 할당된 값들은 오직 그 함수 내에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 다음 경우의 x와 y 변수들을 살펴 보자 (setq y ‘(a b c))(setq x ‘(d e f)) è (defun local-var(x) (setq y (cons x y)))è (local-var 6)è (6 A B C)è Xè (D E F)è Yè (6 A B C) 함수 정의 defu..

학부공부/블록체인2018. 10. 9. 01:11블록체인의 구조

블록체인 구조 ( 비트코인 기반 ) 채굴자들의 합의에 의해 10분마다 단위 거래 장부인 블록을 생성하고 , 이전 블록과 해시 포인터로 연결한다 .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블록 헤더에 유지한다 . 블록을 p2p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고 , 필요한 참여자는 누구나 블록체인 유지 가능하다 . 이 말은 모든 거래내역을 공개한다를 의미한다 . 블록체인이라는 체인을 이루는 원소인 블록은 무엇일까?? è 블록은 유효한 거래 정보의 묶음이다. è 비트코인의 블록 하나에는 평균 약 1800개의 거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 블록 하나의 물리적인 크기는 평균 0.98Mbyte이다. 블록은 블록 헤더와 거래 정보 , 기타 정보로 구성된다 . è 블록헤더는 6개의 정보로 구성된다 ( version , pre..

다중화 ( Multiplexing , FDM , TDM , SynchronousTDM , AsynchronousTDM)
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2018. 10. 8. 23:44다중화 ( Multiplexing , FDM , TDM , SynchronousTDM , AsynchronousTDM)

정보 전송의 다중화 다중화 ( Multiplexing ) 1. 전송로 하나에 데이터 신호 여러 개를 중복시켜 고속 신호 하나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 2.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 3. 다중화 장치 ( MUX , Multiplexer ) ㄱ.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직렬로 전송하는 장치이며 , 정적인 ( 단순히 여러 개의 신호를 묶는다는 의미 ) 공동 이용 장치이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넓은 고속도로에 1~4차선 까지 뚫려 있고 , 자동차들은 이 도로를 통해 빠르게 지나간다.위에서 차선은 채널로 비유할 수 있고 , 자동차는 어떤 통신회선(도로)을 통해 지나가는 신호라고 생각하면 쉽다.넓은 대역폭을 여러개의 좁은 대역폭으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을 다중화 라고 한다...

CA-HepTh.txt ( 고에너지 물리학 - 현상학 ) 분석하기
학부공부/데이터마이닝과통계2018. 10. 5. 00:49CA-HepTh.txt ( 고에너지 물리학 - 현상학 ) 분석하기

1.파일을 R코드에서 읽어 들인다.sn -->결과물 V1 V21 24325 243942 24325 405173 24325 585074 24394 37375 24394 39056 24394 7237 3.head에서 첫 번째 사용자와 연결된 사용자들의 그래프를 그려 저장한다. [그림 1]sn1 sn1.df plot(sn1.df) # 24325의 값을 기준으로한 데이터프레임을 plot으로 뽑는다 . 4.네트워크 노드의 총수는 몇 명인가? sn.df # 네트워크의 크기: 노드의 총수를 나타나며, # 페이스북 사용자 데이터 세트는 총 9877명의 사용자로 구성vcount(sn.df)5.노드간의 연결된 edge는 총 몇 개인가? # 노드간의 연결된 edge의 총수,# 물리학 – 현상학 사용자간 총 연결수는 총 51..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