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6. 22:06순방향과 역방향 연결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순방향과 역방향 연결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이 문제는 주제 전문가가 문제를 어떻게 푸는가에 달려 있다. 만약에 전문가가 먼저 정보를 수집한 후 그로부터 무엇인가를 추론하려 한다면 , 순방향 연결 추론 엔진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전문가가 가정 해에서 시작해 이를 증명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찾으려 한다면 역방향 연결 추론 엔진을 선택하면 된다 순방향 연결은 분석과 해석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설계하기에 자연스러운 방법이다.역방향 연결 전문가 시스템 대부분은 진단 목적으로 사용이 된다 .

역방향 연결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6. 22:02역방향 연결

역방향 연결 1. 목표 지향 ( goal – driven ) 추론으로써 , 전문가 시스템이 목표를 정하고 , 추론엔진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증거 찾기를 시도한다. 먼저 원하는 해가 있는 규칙을 찾기 위해 기반지식을 탐색한다. 규칙은 THEN 부분에 목표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2. 규칙을 발견하고 IF 부분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와 일치한다면 규칙은 점화되고 목표는 증명된다 3. 추론 엔진은 규칙의 IF 부분을 증명하기 위해 작업 중이던 규칙은 제쳐두고 ( stack 에 저장 ) 새로운 목표와 하위 목표를 설정한다 4. 하위 목표를 증명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아 기반지식을 다시 탐색한다. 5. 추론엔진은 현재의 하위 목표를 증명하기 위해 기반지식에서 더 이상 규칙을 발견할 수 없을 때 까지 규칙을 스택..

순방향 연결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6. 21:44순방향 연결

순방향 연결 1. 데이터 지향 ( data – driven ) 추론으로써 알려진 데이터에서 추론을 시작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2. 한 번에 가장 좋은 규칙 하나만 실행되고 , 규칙이 점화되면 그 규칙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사실을 추가한다. 3. 어떤 규칙이라도 한 번만 수행된다 . 일치-점화 사이클은 더 이상 점화할 수 있는 규칙이 없다면 중단된다. 4. 순방향 연결은 정보를 모으고 난 후 , 이를 바탕으로 추론 가능한 무언가를 추론함 5. 순방향 연결에서는 정해진 목표와 관련 없는 많은 규칙들이 수행될 수 있음 6. 기반 전문가 시스템에는 수백 개의 규칙이 있을 수 있고 , 그 중 상당수는 유효한 새로운 사실을 이끌어내기 위해 점화되겠지만 , 불행히도 목표와 무관할 수 있다 7...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에서의 추론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6. 21:09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에서의 추론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에서의 추론은 어떻게 될까??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에서 , 분야 지식은 IF-THEN 생성 규칙의 집합이고 , 데이터는 현재 상황에 대한 지식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추론엔진은 기반지식에 저장된 각각의 규칙을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실과 비교한다. IF(조건)부분이 사실과 일치한다면 , 그 규칙은 점화되고 , THEN 부분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문자와 기반지식은 상황 or 개념을 표현하는데 쓰인다. 규칙의 IF부분과 사실과의 일치는 추론 사슬을 생성하게 된다. 추론 사슬은 전문가 시스템이 결론에 이르기 위해 규칙을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위에 사진을 보자 . 총 3개의 규칙 ( 생성 규칙이 존재한다 ) 이 있는데 A --> X 를 통해 우리는 규칙3이 점화 (..

학부공부/인공지능2018. 9. 6. 20:53전문가시스템의 특성

전문가 시스템의 기본적인 특성 전문가 시스템은 좁고 전문화된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고품질의 성능이다. 시스템이 문제를 얼마나 빨리 풀 수 있는지를 떠나서 그 결과가 잘못되었다면 사용자는 만족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도 문제해결 속도는 매우 중요하다 .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는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제 경험을 사용하여 일반인보다 해를 좀 더 빨리 구해야 한다. 전문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림짐작 or 휴리스틱을 사용한다 몇 가지 용어를 정리해 보겠다. 해설 능력 ( explanation capability ) è 전문가 시스템의 독특한 특징으로 이를 통해 전문가 시스템은 자신의 추론을 재검토하고 , 결론을 설명한다. è..

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2018. 9. 6. 20:17통신회선의 정의와 종류

통신회선 1.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 ( 데이터가 전달되는 통로 ) 2. 통신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 3. 데이터 전송선로 or 정보 전송매체라고 함 4. 예를 들면 전화선 , 동축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 마이크로파 , 위성통신 등이 있다. 전송선로의 종류와 특징 1. 유선선로 ㄱ. 전화선과 동축 케이블은 정보 전송 수단이 전기이다. ㄴ. 광섬유 케이블은 빛이다 ㄷ. 기후 조건으로 감쇄 현상 발생 ㄹ. 지형에 따라 설치할 때 장애 발생 ㅁ. 가입자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음 ㅂ. 전선이 끊어 질 수 있다. 2. 무선선로 ㄱ. 안테나를 이용해 송수신하며 , 전송할 때는 안테나가 공기 등의 매체를 이용해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 수신할 때는 주위 매체를 이용해 전자기파를 끌어당김 ㄴ. 마이크로파 ( 위..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