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

정보 전송의 종류와 신호변환 종류 1

IT grow. 2018. 9. 30. 05:13
반응형

정보 전송의 변조 방식


크게 2가지로 나뉘게 된다 .

디지털 전송 방식아날로그 전송 방식으로 나뉜다.

디지털 전송 방식은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를 부호기를 이용해 디지털 전송 신호로 변환해 전송한 후 복호기를 이용해 다시 원래 정보로 변환시킨다. 또한 이런 전송 방식은 직류 전송 방식이라고도 한다 .

 

도식화 해보면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 à 부호기 à 디지털 전송 신호 ( 통신회선을 통해서 ) à 복호기 à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


아날로그 전송 방식은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를 변조기를 이용해서 아날로그 전송 신호로 변환해 전송한 후 복조기를 이용해 다시 원래 정보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전송 방식은 교류 전송 방식이라고도 한다.

 

도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 à 변조기 à 아날로그 전송 신호 ( 통신회선을 통해서 ) à 복조기 à 아날로그 or 디지털 정보

 

전송 형태는 디지털 전송과 아날로그 전송으로 나눠지는데 ,

신호변환 방식은 디지털à디지털신호 , 아날로그à디지털신호, 디지털à아날로그신호, 아날로그à아날로그 신호 총 4가지의 신호변환 방식으로 나뉘어 지게 된다 .

 

1.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 베이스밴드 )


è  디지털 형태인 01로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변조하지 않은 채 그대로 전송한다.

è  컴퓨터와 단말기 통신 , 근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여기서 01비트를 전압값에 어떻게 대입시키느냐에 따른 방식이 또 나뉘게 된다.

è  단극성 : 신호를 동일한 부호의 전압으로 부호화 한다 ( + or - )

è  극성 :  0 비트를 - , 1 비트를 + , 복류 방식

è  양극성 : 신호를 부호화할 때 양 , 음 전압 모두 사용 , 베이스밴드 , 0비트를 - , 1비트를 +

è  RZ ( return to zero ) : 1비트를 전송할 때 비트 시간 길이의 약 1/2은 양 or 음의 전압을 유지하고 그 나머지 시간은 0상태로 되돌아오는 방식

è  NRZ ( None Return to Zero ) : 01비트의 값을 전압으로 표시한 후 다시 0V로 되돌아 오지 않는 방식

è  극성과 RZ ,NRZ의 차이점은 극성은 0 비트를 로 전압을 주지만 , RZ NRZ0비트를 + 로 전압을 준다 .

è  2단계 방식 : RZNRZ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멘체스터 방식이라고도 한다

0비트는 전압이 낮은곳à높은곳 , 1비트는 전압이 높은곳à낮은곳

 

이렇게 우리는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몇가지의 방식을 보았다.

다음은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을 알아 볼 것이다.


2.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바꿀 때 ( 펄스 부호 변호 { PCM } )

è  아날로그 정보를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 후 이를 다시 받아 원래의 아날로그 정보로 복원한다

표본화라는 것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정보에서 일정 시간마다 신호값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

양자화라는 것은 표본화된 신호값을 미리 정해 둔 불연속한 유한 개의 값으로 표시하는 과정이다 . 여기서 표본화된 신호값을 반올림하여서 정수로 표현한다 . 물론 정확한 값을 아니다 .

마지막으로 부호화라는 것은 양자화 과정에서 얻은 결과 정수값을 2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이렇게 부호화까지 거치게 되면 통신회선을 통해서 가고 , 복호화 ( 양자화방식 ) , 필터링으로 마무리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