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8

IT grow. 2019. 7. 22. 13:10
반응형
전자계산기 구조 8

 

1.     주소 설계 시 고려 사항

-      주소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함

-      수행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주소 공간과 기억 공간을 독립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주소 지정 방식의 종류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Immediate Mode )

ㄱ.   오퍼랜드 부분에 실제 데이터를 기억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Direct Mode )

ㄱ.   사용할 자료의 번지를 표현
ㄴ.   명령어의 주소부를 유효주소로 이용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Indirect Mode)

ㄱ.   명령의 길이가 짧고 제한되어 있어도 긴 주소 접근
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의 번지를 가진 기억장소의 번지를 표현

 

LDA 34였을 때 직접 주소 지정 방식 값과 간접 주소 지정 방식 값은 ??

주소

내용

34

39

39

127

127

349

 

: 직접주소지정방식의 값은 39, 간접주소지정방식의 값은 127


3.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Micro Operation)

-      하나의 Clock 펄스 동안 실행되는 기본 동작

-      인스트럭션(명령) 실행과정에서 한 단계씩 이루어지는 동작

-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의 상태 변환을 일으키는 작업

-      제어 신호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장치가 발생하는 신호


4.     마이크로 명령 형식

 

-      수평 마이크로 명령

ㄱ.   마이크로 명령어의 각 비트가 각 제어신호에 대응

 

-      수직 마이크로 명령

ㄱ.   한 개의 마이크로 명령이 한 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

 

-      나노 명령

 

 


5.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기가 다음에 수행할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의 주소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정보

-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IR)

-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에 나타난 주소

-      CPU의 상태 레지스터


6.     Micro Cycle Time 부여 방식

 

-      동기 고정식

ㄱ.   동작시간이 모두 같도록 정의

ㄴ.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함

ㄷ.   동작시간이 비슷할 때 유리

ㄹ.   클록 사이클 = 가장 긴 시간 + 지연 시간

 

-      동기 가변식

ㄱ.   동작시간이 그룹별로 다르게 정의

ㄴ.   각 그룹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각 그룹간의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가 되게 함

 

-      비동기식

ㄱ.   동작시간이 모두 다르도록 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