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구조 요약 5

IT grow. 2019. 7. 22. 10:03
반응형
전자계산기 구조 5

 

1.     부동 소수점 ( Floating Point ) 방식

-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표시

: 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의 수행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

: M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은 백만 번 수행

= 메가플롭스 계산식 = 프로그램 내의 부동 소수점 연산 개수 / (수행 시간 X 106)


2.     IEEE 754 표준에 따른 단정도(단일-정밀도) 부동 소수점 표현

-      지수 : 8비트

-      바이어스 : 127

-      가수 : 23비트

-      표현 영역 = 2-127~ 2128


3.     부동 소수점 연산

 

-      덧셈, 뺄셈

ㄱ.   0인지 여부를 조사, 지수의 비교

ㄴ.   가수의 위치 조정 (=가수의 정렬 = 지수 통일)

ㄷ.   가수부 값끼리 더하거나 뺌

ㄹ.   정규화 ( Normalize )

 

-      나눗셈

ㄱ.   0인지 여부를 조사

ㄴ.   부호를 결정

ㄷ.   피제수 위치 조정

ㄹ.   지수의 뺄셈

ㅁ.   가수의 나눗셈


4.     자료 표현 코드

 

-      BCD 코드 = 10진수 1자리를 2진수 Bit로 표현 

Exam
10진수 634BCD로 표현한다면 ??
6 à 0110
3 à 0011
4 à 0100
: 0110 0011 0100

 

-      Excess-3 코드 (3 초과 코드)

: BCD 코드에 3을 더해서 만듦

: 자기 보수가 가능

 

Exam
10진수 93초과 코드로 표현한다면?
9 + 3 = 12
 
: 1100

 

-      UnicodeASCII 코드와의 관계

: UnicodeASCIII를 인식할 수 있지만 ASCII에서는 Unicode의 특수문자를 인식할 수 없음


5.     그레이 코드 변환

-      그레이 코드는 비가중 코드

 

-      2진수를 Gray Code로 변환

1 0 0 1 à 1 (1+0) (0+0) (0+1)

 

-      Gray Code2진수로 변환

1 0 0 1 à 1 (1+0)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