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공부/무선및모바일통신

전송 용량 , 오류율 ,통신회선의 구성 방식,데이터 전송 방식,비동기식 전송 , 동기식 전송

IT grow. 2018. 9. 13. 21:16
반응형

전송 용량


1.     오류 없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속도

2.     Bps ( 1초동안 8개를 보냈는데 오류가 나면 , 조금 더 적게 보내야 한다 )

Ex) 송신 à 00111100 à 수신

만약 보내다가 중간에 깨지는게 있다면 조금 더 낮게 잡아야 한다.

이 때 조금 낮게 보내준다는 의미는 비트단위로 쪼개지기 때문에 ,

2 3 승부분에서 2 2승으로 보내야 한다. 보통 2n승으로 나타냄

 

오류율


오류 발생 원인

1.     통신회선의 순간 절단 현상

2.     통신회선의 잡음 , 감쇄 , 혼선 , 찌그러짐 , 펄스성 잡음 , 에코 현상

3.     장치의 기계적 , 구조적 원인

4.     전원의 중단 등 전기적 원인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장애의 주요 형태

1.     신호 감쇄 :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자적 신호의 세기가 점차 약해지는 현상

2.     지연 왜곡 : 전송매체를 이용해 전달하는 신호의 속도가 주파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 현상

è  모뎀에서 통신을 할 때 360도 로 신호가 다 나간다 .  전방에다가 , 또는 벽에 맞고 반사가 될 때 , 꺾이고 , 신호가 들어간다 . 이때 걸리는 시간은 늘어 날 것이다 . 이것을 왜곡이라고 한다. 와이파이를 잡을 때 5g , 그냥 일반이 있을 때 핸드폰은 이 두개를 다 받아 들인다 . 그렇지만 우리는 여기서 한 개만 사용을 취하는데 , 버려진 것을 털어낼 때 생기는 왜곡

3.     잡음 : 전송로에서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불필요한 신호

(바람 , 주파수를 방해하는 것 )

 

오류율 구하는 공식

1.     오류율이 10 -5 ~ 10 -6 정도라는 것만 ( 공식에서 )

 

통신회선의 구성 방식


1.     2선식과 4선식

ㄱ.   물리 매체 ( 전송회선 ) 와 전송 장치 ( 모뎀 ) 에 연결하는 통신회선의 개수에 따라 분류한 방식


ㄴ.   정보 전송 방식

1.     2와이어 ( 2선식) - 양방향 통신에서 위아래로 전송할 때 동일한 전송로 사용

2.     4와이어 ( 4선식) – 양방향 통신에서 위아래로 전송할 때 별도의 전송로 사용


ㄷ.   --점 회선 방식 :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 , 응답 속도가 빨라서 고속 처리에 이용 , 전화회선에 이용


ㄹ.   다지점 회선 방식 :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전송회선 1개에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

è  폴링 :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 , 데이터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

è  선택 : 특정 단말기를 지정하는 제어 문자를 데이터 앞에 포함시켜 전송

è  경쟁 : 단말 장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회선에 접근하는 방법


ㅁ.   집선 회선 방식

è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중심 부분에 집선 장치를 설치한 후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하는 방식

è  단말기에서 저속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아서 컴퓨터에 고속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è  통신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è  단말기의 회선 사용률이 낮을 때


ㅂ.   회선 다중 방식

è  일정한 지역에 있는 단말기 여러 대를 그 지역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 다중화 장치에 연결하고 , 다중화 장치와 컴퓨터 사이는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

è   

데이터 전송 방식


1.     직렬 전송 : 데이터의 최소 요소인 문자 하나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전송선로 1개를 이용하여 차례로 전송하는 방식 , 전송회선 1개로도 송수신 측이 서로 통신할 수 있어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한다 ,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된다.

2.     병렬 전송 :  

à문자를 구성 하는 각 비트를 전송선로 7~8개를 이용해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è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구분할 수 없어서 strobebusy 신호를 사용

è  1000 | 1100 : 4개로 잘라서 읽어 , 그러면 안 | 녕으로 읽힐 것이다.

3.     직렬과 병렬 비교

속도 : 느림 VS 빠름

비용 : 저렴 VS 비쌈

     원거리Vs 근거리

변환회로 필요VS 변환회로 필요x

대부분 전송에서 사용 Vs strobebusy신호를 사용

 

비동기식 전송 ( Asynchronous Transmission )


1.     IDLE : 유휴 안하고 있는 상태 , “1” 유지 à 그런데 1이 의미 있는 데이터인지 의미 없는 데이터인지 모른다 어떻게 해야 하나 ..?

2.     St : start , 논리는 “0” , 1비트로 구성되고

3.     Sp : stop , “ 1 “

4.     언제 데이터를 보낼지 모르기 때문에, IDLE상태가 있다.

5.     그렇다면 Stop 1IDLE 1을 어떻게 구별하나 ??

6.     끝나면 IDLE이 되기 전에 Stop한번 하고 , start

7.     IDLE 신호 전후에는 Start stop 신호가 있다 . St < -- > Sp : Busy단계이다.

 

 

동기식 전송 ( Synchronous Transmission )

1.     데이터를 문자가 아닌 블록 단위로 전송

2.     동기 문자 : 송신 측과 수신 측이 서로 동기하는데 사용

3.     한 묶음으로 구성한 문자 사이에는 휴지 간격이 없다

4.     송신하려는 데이터가 많거나 고속 처리가 필요할 때는 동기식이 훨씬 효율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