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공부/인공지능

순방향 연결

IT grow. 2018. 9. 6. 21:44
반응형

순방향 연결


1.     데이터 지향 ( data – driven ) 추론으로써 알려진 데이터에서 추론을 시작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2.     한 번에 가장 좋은 규칙 하나만 실행되고 , 규칙이 점화되면 그 규칙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사실을 추가한다.

3.     어떤 규칙이라도 한 번만 수행된다 . 일치-점화 사이클은 더 이상 점화할 수 있는 규칙이 없다면 중단된다.

4.     순방향 연결은 정보를 모으고 난 후 , 이를 바탕으로 추론 가능한 무언가를 추론함

5.     순방향 연결에서는 정해진 목표와 관련 없는 많은 규칙들이 수행될 수 있음

6.     기반 전문가 시스템에는 수백 개의 규칙이 있을 수 있고 , 그 중 상당수는 유효한 새로운 사실을 이끌어내기 위해 점화되겠지만 , 불행히도 목표와 무관할 수 있다

7.     그렇기 때문에 정해진 목표가 단지 하나의 특정한 사실을 추론하는 것이라면 순방향 연결 추론 기법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à 역방향 연결이 좀 더 적당함


다음예를 보자 .

확인 하기 전에 앞서 , 화살표를 기준으로 왼쪽은 IF 이고 , 화살표 오른쪽은 THEN 이다 .


기반지식에서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실행이 될 테인데,

 Y & D 는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했을 때 , 사실인가 ?? 사실이지 않다 

 X & B & E 또한 사실이지 않다.

 A --> Y 는 사실이고 , 점화된다 . 

 C --> L 또한 사실이기 때문에 점화가 된다.

 L & M 은 사실이지 않다 .


 우리는 순서대로 실행한 결과 X , L 이 데이터베이스에 점화 된 것을 확인했다.

 이제 저장해 놓았던 정보들을 확인한다.

 X & B & E 는 추가확인한 정보 까지 확인 하여서 사실로써 점화가 된다 ( Y 추가 ) 

 그렇게 되면 마지막인 Y & D 사실로 간주 되고 점화 된다 ( Z 추가 ) 



반응형